2020년 부활절이 다가왔다. 정부에서는 조금만 더 교회 집회를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교회 사정에 따라 부활절부터는 현장 예배를 드리겠다는 교회도 있고, 영상 예배로 준비하는 교회들도 많다. 신학적, 교단적 입장의 판단이 아니라, 함께 현장에서 예배를 드릴 수 있는 충분한 환경이라 판단했기 때문에 우리 교회는 현장에서 예배를 드릴 것이다. 올 해에는 형식적인 교회 절기로 사순절을 지키는 것보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일상에서 불편한 것들을 견디는 고통의 시간들로 지내고 있다. 우리 성도들의 삶의 현장이 피폐하고 절박한 현실을 버티는 중에 어느 덧 부활절을 맞이하게 되었다. 평범한 일상을 다시 찾기를 원하는 희망 사항이 되었다. 목회자로서 교회의 예배 모임도 일상을 다시 찾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사회학자들이 만들어 낸 용어가 있다. 세계는 코로나 전과 후로 나뉠 수 있다고 하였다. 한 가지 믿음의 사람들은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 코로나 이후 일상이 복귀되면 이전에 살던 삶의 패턴으로 회귀한다면 만족할 수 있을까? 단지 불편한 것들이 해소되는 것으로 만족하며 사는 것으로의 복귀를 희망하는가? 이번 기회에 우리의 신앙의 모습을 돌아보면 좋겠다. 주일 아침 교회에 나오면서 어떤 마음으로 올 수 있을까? 목회자인 나는 주일에 교회를 찾아오는 성도들을 기다리면서 어떤 마음으로 맞이할 수 있을까? 분명 달라진 것 같다. 평범한 일상을 넘어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일상으로의 회복이 있기를 기도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실상은 부활을 기다리는 중에 있다. 아직 토요일을 살아내야 한다. 마치 무덤에 머물러 있는 어둠의 시간 속에 있다. 앞으로 얼마나 견디어야 할지 장담할 수 없기에 걱정이 되고 불안하다. 그러나 우리는 확실한 부활의 아침이 찾아온다는 것을 믿는다. 그 어떤 죽음의 그늘도 우리의 믿음에 걸림돌이 될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다.
2020년 부활 메시지는 나사로의 죽음 이야기 본문을 선택하였다. 많이 보고 듣고 전한 부활절 설교이지만, 아쉬움이 많은 우리 상황 속에서 더욱 생생하게 예수님께서 들려주신 생명의 메시지로 다가왔다. 요한복음 11장의 줄거리가 꽤 많은 양이다. 30분의 설교 시간에 충분한 메시지를 닮기가 어려웠다. 다음 주도 부활절 메시지를 연속하여 전하고자 한다. 이 메시지를 처음 듣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예수님께서 우리 현장에서 친히 하시는 말씀으로 전하고 싶다. 부디 우리 자녀들로부터 아직도 부활의 확신이 없어 코로나 죽음의 공포로 불편한 일상을 살아가는 성도들에게 확신과 소망의 말씀으로 들려지기를 소망한다.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