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본문] 요한계시록5:1-14 개역개정
-
1. 내가 보매 보좌에 앉으신 이의 오른손에 두루마리가 있으니 안팎으로 썼고 일곱 인으로 봉하였더라
2. 또 보매 힘있는 천사가 큰 음성으로 외치기를 누가 그 두루마리를 펴며 그 인을 떼기에 합당하냐 하나
3. 하늘 위에나 땅 위에나 땅 아래에 능히 그 두루마리를 펴거나 보거나 할 자가 없더라
4. 그 두루마리를 펴거나 보거나 하기에 합당한 자가 보이지 아니하기로 내가 크게 울었더니
5. 장로 중의 한 사람이 내게 말하되 울지 말라 유대 지파의 사자 다윗의 뿌리가 이겼으니 그 두루마리와 그 일곱 인을 떼시리라 하더라
6. 내가 또 보니 보좌와 네 생물과 장로들 사이에 한 어린 양이 서 있는데 일찍이 죽임을 당한 것 같더라 그에게 일곱 뿔과 일곱 눈이 있으니 이 눈들은 온 땅에 보내심을 받은 하나님의 일곱 영이더라
7. 그 어린 양이 나아와서 보좌에 앉으신 이의 오른손에서 두루마리를 취하시니라
8. 그 두루마리를 취하시매 네 생물과 이십사 장로들이 그 어린 양 앞에 엎드려 각각 거문고와 향이 가득한 금 대접을 가졌으니 이 향은 성도의 기도들이라
9. 그들이 새 노래를 불러 이르되 두루마리를 가지시고 그 인봉을 떼기에 합당하시도다 일찍이 죽임을 당하사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에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시고
10. 그들로 우리 하나님 앞에서 나라와 제사장들을 삼으셨으니 그들이 땅에서 왕 노릇 하리로다 하더라
11. 내가 또 보고 들으매 보좌와 생물들과 장로들을 둘러 선 많은 천사의 음성이 있으니 그 수가 만만이요 천천이라
12. 큰 음성으로 이르되 죽임을 당하신 어린 양은 능력과 부와 지혜와 힘과 존귀와 영광과 찬송을 받으시기에 합당하도다 하더라
13. 내가 또 들으니 하늘 위에와 땅 위에와 땅 아래와 바다 위에와 또 그 가운데 모든 피조물이 이르되 보좌에 앉으신 이와 어린 양에게 찬송과 존귀와 영광과 권능을 세세토록 돌릴지어다 하니
14. 네 생물이 이르되 아멘 하고 장로들은 엎드려 경배하더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본문 : 계 5 : 1 - 14
제목 : 영원히 부를 노래
일시 : 2024. 7. 21
요한계시록은 하늘의 장면과 지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과 앞으로 펼쳐질 장면들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요한은 1장에서 성령의 감동되어 나팔 소리 같은 음성을 듣는 가운데 일곱 금촛대 사이를 거니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보았습니다. 교회를 붙드시고 사랑하시는 ‘인자 같은 이’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2, 3장에서 교회가 직면한 지상의 현실에 초점을 맞추어 교회들을 격려하고 있습니다. 4, 5장에서 요한은 다시 하늘의 보좌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6장에서 앞으로 이루어질 일들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 이 땅에서 전개될 하나님의 심판을 증거 한 것입니다.
요한계시록을 읽을 때에 주의 깊게 보아야 할 단어가 보좌입니다. 계시록 안에는 두 개의 보좌가 나타납니다. 하나는 하늘에 펼쳐진 하나님의 하늘 보좌이고 다른 하나는 짐승의 보좌입니다. 13장에서는 요한은 두 짐승이 올라오는 장면을 보았는데, 하나는 바다에서 올라오고, 또 하나는 땅에서 올라옵니다. 두 짐승은 성도들을 괴롭히는 황제와 황제 숭배를 강요하는 로마의 권세 있는 자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계시록을 한편의 드라마로 생각할 때 바로 이 두 힘의 세력의 싸움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시 세상의 중심은 로마였습니다. 로마의 황제는 황제 숭배를 강요했고, 세상은 그를 중심으로 모이게 되었습니다. 로마의 황제가 찬양과 경배의 대상자였습니다. 그는 자신을 “우리의 주와 신” 으로 숭배하게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하늘 보좌를 증거하고 있는 것은 결국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가 승리했듯이 교회와 성도들도 승리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요한은 지상의 박해받고 있는 일곱 교회를 향한 사랑의 권면을 마치고 성령의 감동되어 하늘의 열린 문이 열리고 그 가운데 하늘의 보좌를 볼 수 있었습니다. 요한은 하늘 성전의 가장 중심이 되는 지성소, 하나님의 보좌가 놓은 곳을 보았습니다. 요한은 먼저 보좌 위에 앉으신 이를 보았습니다. 보좌에 앉으신 분은 누구일까요? 하나님이십니다.
그런데, 그 하나님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못하였습니다. 요한은 인간이 표현할 수 있는 언어 중에 가장 가치 있고 영광스러운 모습으로 하나님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보석과 같은 분으로, 그리고 약속을 반드시 지키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증거 하는 무지개로 묘사합니다.
4:3 앉으신 이의 모양이 벽옥과 홍보석 같고 또 무지개가 있어 보좌에 둘렸는데 그 모양이 녹보석 같더라
그 보좌에 둘려 있는 24 장로들이 있습니다. 24 장로는 구속받은 하나님 백성의 대표라고도 하고, 하늘의 천상의 존재라고 해석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신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을 대표하는 인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순결을 상징하는 흰옷을 입고 승리를 상징하는 면류관을 쓰고 있습니다. (4:4)
보좌 앞에는 또 다시 놀라운 광경이 펼쳐지는데 수정 같은 유리 바다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보좌 주위에 네 생물이 있습니다. 이 네 생물은 모든 피조물들의 대표자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야생동물의 왕으로서의 사자, 새들의 왕으로서 독수리, 가축 중에서 소, 그리고 만물의 영장인 사람 모든 피조물의 대표라 할 수 있습니다.
4장은 네 생물들과 24장로들이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4장에 나타나는 찬양의 주제는 지극히 높으시고 거룩하시고 능력의 하나님, 유일하신 하나님, 만물을 지으시고 지금도 만물과 역사를 주관하시고 다스리시는 하나님을 찬양한 것입니다.
4:11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권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그런데, 요한은 거기 하늘 보좌에서 그토록 보기를 원했던 예수님을 볼 수 없었습니다. 왜 예수님이 보이지 않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은 드디어 5장에서 풀리게 됩니다. 요한은 5장을 시작하면서 다시 하늘의 보좌를 보았습니다. 보좌를 바라보니 보좌에 앉으신 이의 오른 손에 인봉된 두루마리, 책이 들려져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안팎으로 써져 있다는 것은 더하거나 뺄 것이 없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5:1 내가 보매 보좌에 앉으신 의의 오른 손에 두루마리가 있으니 안팎으로 썼고 일곱 인으로 봉하였더라
이 두루마리에 적혀 있는 내용은 계시록 6장 이하에서 전개될 하나님의 계획, 다시 말하면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 그리고 하나님의 최종 구속의 완성과 그로 인한 하나님 백성의 승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요한은 이 두루마리 책이 봉합되어 있는 것을 누가 떼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답답해하고 심지어 크게 울기까지 합니다. 만약 인봉된 책을 열기에 합당한 자가 없다면 사단과 사단의 하수인들은 현재의 모습처럼 하나님의 백성들을 박해와 고난으로 괴롭힐 것이고,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성취와 그로인한 하나님 백성의 승리는 물거품이 되어버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생각해보세요. 사람이 고난을 당할 때에 그래도 울 수 있다는 것은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풀리지 않을 것 같은 문제나 상황 가운데에서 비통하는 심정으로 끝까지 눈물 흘린다는 것은 아직도 하나님의 응답을 간절히 기다리는 믿음이 있다는 것입니다. 요한의 슬픔이 위로가 되는 장면이 이어집니다. 5절에서 한 장로가 등장합니다. 아마도 이 장로는 24 장로가운데 대표격이 되는 존재일 것입니다. 그리고 요한처럼 눈물을 흘려보았을 것입니다. 장로는 요한에게 말합니다.
5:5 장로 중의 한 사람이 내게 말하되 울지 말라 유대 지파의 사자 다윗의 뿌리가 이겼으니 그 두루마리와 그 일곱 인을 떼시리라 하더라
울지 말라는 것은 슬퍼해서는 안된다는 뜻이 아니라 슬픔에 대한 해답이 있다는 것입니다. 마침내 그 인봉을 떼시기에 합당한 분이 발견된 것입니다. 그분은 세상을 심판하시고 주의 신실한 백성들을 구속과 완성으로 이끄실 수 있는 분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아직까지는 철저하게 봉해져 있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이 책에 봉인된 인 들이 하나씩 열려지게 될 것이고 악인은 심판하고 의인은 승리케 하는 역사가 이루어지게 될 것입니다.
5장에서 찬양의 주제, 이유, 대상에 대해서 보여줍니다. 능력과 부와 지혜와 힘과 존귀와 영광과 찬송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구속의 사역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죽은 자 같으나 사는 자요, 보잘 것 없는 자 같으나 가장 존귀한 자요, 지는 자 같으나 이기는 자되신 예수 그리스도, 바로 그분께서 이루신 구원의 사역이 모든 찬양과 경배의 주제요 이유요 바로 그 사역이 영원히 부를 노래인 것입니다.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께서 일찍 죽임을 당하셨다는 것입니다. 어린 양의 승리는 힘과 권력으로 세상을 장악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심으로 사람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신 것입니다. 24 장로들과 네 생물이 어린 양 앞에 엎드려 거문고와 향이 가득한 금 대접을 가지고 노래를 부르고 있는데, 그 주제도 일찍이 죽임을 당하신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5:9 그들이 새노래를 불러 이르되 두루마리를 가지시고 그 인봉을 떼시기에 합당하시도다 일찍이 죽임을 당하사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에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시고
요한은 어린 양의 노래를 ‘새 노래’ 라고 하였습니다. 새롭다는 것은 전에 없었던 새로운 음악적 스타일이 아니라, 내용과 의미에 있어서 질적으로 새로운 차원의 노래라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은 이스라엘이라는 한 민족을 넘어 온 세상 즉 모든 족속, 방언, 나라에 있는 사람들까지를 포함한 온 세상의 구속을 이루신다는 것입니다. 이제 하늘에서 울려 퍼지는 찬양은 24 장로와 네 생물을 둘러 싼 만만이요 천천이나 되는 천사들의 찬양이 나타납니다. 이들의 찬양의 주제도 죽임을 당하셨다는 것입니다.
5:12 큰 음성으로 이르되 죽임을 당하신 어린 양은 능력과 부와 지혜와 힘과 존귀와 영광과 찬송을 받으시기에 합당하도다 하더라
기독교 신앙의 본질,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입니다. 어린 양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으로 악의 세력을 정복했다는 것입니다. 이제 찬양의 클라이막스를 향하는데 하늘 위에와 땅 위에와 땅 아래와 바다 위에와 또 그 가운데 모든 피조물이 한 목소리로 노래를 하게 됩니다. 이제 찬양의 대상이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돌려집니다. 얼마나 영광스러운 장면입니까? 요한계시록에서 보여주시는 하늘 보좌의 영광과 찬양은 4장과 5장에서만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계시록에서 환난과 심판이 전개되는 중간 중간에 또 다시 보여주시고 있습니다.
계시록 6장에서부터 두루마리에 봉인된 인이 떼어지면서 심판이 마지막을 향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여기서 이해해야 할 것은 심판가운데 나타나는 재앙은 특정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쏟아 부어지는 재앙이라기 보다는 예수 그리스도의 초림과 그리스도의 재림의 시기까지의 전 역사 가운데 임하게 되는 재앙을 의미한다고 해석을 해야 합니다. 생각해보세요. 모든 역사 가운데 전쟁과 기근과 온역과 지진과 같은 가장 안전할 것 같은 자연 질서가 흔들리고 파괴되는 천체의 재앙과 각 나라와 민족 사이에 수많은 전쟁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을 기다렸던 수 많은 성도들이 계시록의 말씀을 읽으면서 거룩한 하나님의 백성으로 찬양과 경배를 드리며 인내와 소망, 그리고 기다림으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요한은 6장에서 무서운 재앙의 심판을 증거 한 다음에 잠시 멈추고 또 다시 하늘 보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7장에서는 아무라도 셀 수 없는 큰 무리가 찬양합니다. 그 무리가 누구일까요? 장로 중 한 사람이 묻습니다. 성경이 성경으로 대답합니다.
7: 13 장로중 하나가 응답하여 나에게 이르되 이 흰 옷 입은 자들이 누구며 또 어디서 왔느냐
흰 옷 입은 자들이 누구입니까? 환난에서 나오는 자들, 곧 어린 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된 사람들을 말합니다.
7: 14 내가 말하기를 내 주여 당신이 아시나이다 하니 그가 나에게 이르되 이는 큰 환난에서 나오는 자들인데 어린 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하였느니라
요한은 계시록 14장에서 지상의 교회가 땅에서 올라온 짐승, 바다에서 올라온 짐승과 거룩한 싸움을 싸우고 있을 때, 또 다시 어린 양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끝까지 따르는 거룩한 하나님의 백성 144000명이 부르게 될 영광스러운 찬양의 장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들이 누구일까요?
14:4 이 사람들은 여자와 더불어 더렵혀지지 아니하고 순결한 자라 어린 양이 어디로 인도하든지 따라가는 자며 사람 가운데에서 속량함을 받아 처음 익은 열매로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속한 자들이니
성경 마지막 장 요한계시록 22장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셔서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가 이루어질 때 그 성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들은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자기 두루미기를 빠는 자들이라 증거하고 있습니다.
22:14 자기 두루마기를 빠는 자들은 복이 있으니 이는 그들이 생명나무에 나아가며 문들을 통하여 성에 들어갈 권세를 받으려 함이로다
우리의 존재는 우리가 누구를 찬양하고 경배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우리가 돈을 섬기는 자이거나 몸을 섬기는 자이면 우리의 가치는 그러한 존재가 되는 것입니다. 교회는 만왕의 왕이요 만주의 주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예배합니다. 우리가 함께 모여 예배드림은 이 세상의 권력과 가치에 대항하는 거룩한 시위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어린 양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우리를 죄와 죽음과 고통에서 해방하신 그 구속의 은혜는 어느 시대이든, 어떤 민족이든 부를 수 있는 노래일 뿐 아니라, 우리가 기다리고 사모하는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에서도 부르게 될 영원한 노래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 찬양을 오늘 예배 한 가운데 부르며 그 영광 가운데 거하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찬양은 천국을 경험하는 은총입니다. 거룩한 예배의 자리, 거룩한 하나님의 보좌 앞에 나아와 찬양과 경배를 드리는 모든 성도들은 천국을 맛보고 경험하는 놀라운 은혜가 함께 하시리라 믿습니다.
우리가 이 땅에서 부르는 노래, 특히 우리가 예배 속에서 부르는 어린 양의 노래는 이미 우리에게 구원을 베푸신 은혜를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하는 것입니다. 구원을 바라보며 부르는 찬양이 아니라 이미 구원받은 사실에 대하여 부르는 노래입니다. 예배 속에서 만나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성도들은 다시 세상에 나가는 것입니다. 세상에 나가서 거룩한 싸움을 싸우는 것입니다. 우상과 싸우는 것이고, 세상의 가치관과 싸우는 것이고, 나 자신과 싸우는 것입니다. 때로는 나를 절망하게 하는 상황과 문제들과 씨름하는 것입니다. 삶에 지치고 예수 그리스도를 섬기는 일에 있어서 낙심되고 실망될 때에 영원히 부를 수 있는 노래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계시록에는 수많은 하늘 보좌에서 울려 퍼지는 노래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얼마나 위로와 소망이 되는지 모릅니다. 한 주간 요한계시록의 말씀을 읽고 듣고 기록한 것을 행하기로 결단하고 승리하는 복된 믿음의 성도들이 되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댓글0개